fnctId=eduSch,fnctNo=63 교육과정 교과목해설 2024 2023 * : 부전공지정과목, ♣ : 교직과정과목, ☆ : 교직 기본이수교과목 학과(전공)명,학년,학기,이수구분,학수번호,교과목명,학점,시수 안내하는 테이블 학과(전공)명 학년,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시수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1 전필 566.212 식품마케팅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1 전선 566.209 분석화학및실험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1 전선 566.250 식품재료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1 전선 566.305 ☆식품위생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1 전선 566.450 식품통계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2 전필 566.202 *☆식품화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2 전필 566.207 ☆식품미생물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2 전필 566.442 *식품포장공학및실험 4-3-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2 전선 566.0001 외식산업론_어드벤처디자인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2-2 전선 566.213 식품물리화학및연습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필 566.304 *식품공정조작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302 식품미생물학실험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303 식품기기분석학및실험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308 ♣식품가공교과교육론 2-2-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309 가공식품개발학_캡스톤디자인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313 식품유통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350 식품산업현장실습Ⅰ 2-0-4-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425 식품위생법규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1 전선 566.448 기본식품생화학및실험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306 식품첨가물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310 발효식품학및실험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311 ☆식품공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315 ♣식품가공논리및논술에관한교육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351 식품산업현장실습Ⅱ 3-0-6-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402 식품물성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414 HACCP관리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444 농식품소비자분석및실습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446 식품영양성분분석_캡스톤디자인 3-1-4-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3-2 전선 566.447 식품영양화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1 전필 566.441 *☆식품가공학및실험 4-3-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1 전선 566.206 전자상거래론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1 전선 566.408 ♣식품가공교재연구및지도법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1 전선 566.409 ☆식품저장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1 전선 566.420 식품품질관리학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1 전선 566.445 식품화학실험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1 전선 566.449 *기능성식품학및실험_캡스톤디자인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2 전선 566.405 식품효소학_캡스톤디자인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2 전선 566.428 식품가공실습 및 견학_캡스톤디자인 3-1-4-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2 전선 566.429 농식품산업전략론 3-3-0-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2 전선 566.431 포장유통학 및 실험 3-2-2-0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4-2 전선 566.443 식품냉동학 3-3-0-0 566.212식품마케팅학 Food Marketing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키는 농식품을 판매하기 위한 기업의 마케팅활동을 이해한다. 특히, 브랜드의 관점에서 농식품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어떠한 가치를 제시할 수 있는지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하여 실제 브랜드에 적용할 수 있다. 566.209분석화학및실험 Analytical Chemistry and Lab 식품화학, 식품미생물학, 식품가공학 실험 등, 식품가공유통학과의 전반적인 실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분석 초자류 취급법, 각종 시약의 제조법, 기초 분석기기류의 응용법 등을 학습하며 배울 수 있다. 566.250식품재료학 Food Materials 식품의 조리, 가공에 이용되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을 대상으로 이들 식재료의 기원과 특성, 영양소를 포함한 함유 성분 및 용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국내외에서 활용도를 높여 가공 소재화한 응용 사례를 설명할 수 있다. 566.305식품위생학 Food Sanitation 식품의 가공, 저장, 유통 및 유통시 화학적, 미생물학적 변질 및 변패에 노출되고 있다. 이런 위험들로부터 건강을 해치는 해치는 인자들을 제시하여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566.450식품통계학 Food statistics 식품, 포장과 관련된 연구 및 실험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통계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동시에 통계학적 실험설계 방법을 설계할 수 있다. 566.202식품화학 Food Chemistry 식품에 일반적으로 함유된 수분,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등의 식품 성분들에 대한 구조적,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에 대하여 학습하며 배울 수 있다. 566.207식품미생물학 Food Microbiology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들은 식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부 미생물은 식품에 오염되어 부패 및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흔히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각종 미생물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생리학적 특징 및 특성을 제시하여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미생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566.442식품포장공학및실험 Food Packaging Engineering and Lab 식품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소재의 종류, 포장방법, 각 식품별 포장 특성 및 저장 중 품질 변화 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식품을 안전하고 고품질로 보존할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및 상품성 제고를 위한 포장을 설계할 수 있다. 566.0001외식산업론_어드벤처디자인 Food Service Industry_Adventure Design 외식산업은 음식을 제조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서비스업과 결합하여 고객들에게 편익을 제공하는 산업이다. 외식산업 내 식자재 관리, 서비스, 마케팅 등에 대해 학습하여산업 전반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566.213식품물리화학및연습 Food Physical Chemistry and Practice 식품의 조리, 가공 및 저장 시에 수반되는 여러 현상들을 물리적, 화학적인 면에서 이해 및 분석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기제, 실제기제, 초임계 유체의 운동 이론, 자유에너지, 열역학 1.2 법칙상 변화, 활동도, 표면장력 등을 다룬다. 566.304식품공정조작 Food Process Operation 식품공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여러 공정들의 이해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으로서 단위환산, 물질수지, 유체역학, 정상상태에서의 열전달, 열교환기, 냉동 등에 대한 개념들을 설명할 수 있다. 566.302식품미생물학실험 Food Microbiology Lab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세균, 곰팡이, 효모 등)들은 식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부 미생물은 식품에 오염되어 부패 및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흔히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각종 미생물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생리학적 특징 및 특성을 실험을 통해 습득함으로 미생물글의 생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566.303식품기기분석학및실험 Food Instrumental Analysis and Lab 석유화학, 임상화학, 식품학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각각 효율적인 공정흐름, 효율적인 환자진단 및 품질관리나 안정성 검사를 위해 시료물질 중의 특정성분의 정확한 정성 및 정량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물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극미량까지 특정 성분의 동정 및 정량이 가능한 각종 Spectrophotometer 법을 깨달을 수 있다. 아울러 실험, 실습도 수행할 수 있다. 566.308식품가공교과교육론 Subject Area Methods for Food Processing 식품가공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식품가공프로그램의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을 분석하여 수업 등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566.309가공식품개발학_캡스톤디자인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_Capstone Design 식품을 개발하고 유통하기 위한 과정을 습득하며, 각종 식품 원료의 가공 적성, 조미재료의 가공과 배합 기술 및 가공저장기술, 관능평가 및 시장조사 등 식품업체의 QC와 R&D 파트에서 수행하는 업무에 대하여 배울 수 있다 566.313식품유통학 Food Distribution 가격결정이론, 가격발견의 방식, 유통의 접근방법, 등 기초적인 유통이론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의 농식품 유통 동향 및 이슈에 대해 실무적으로 접근하여 실제 농식품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 566.350식품산업현장실습Ⅰ Field Training in Food IndustryⅠ 산업체 현장에서 필요한 관능검사 기법과 통계학적 처리 방법 등을 제시히여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566.425식품위생법규 food sanitation act 식품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위생법을 포함하여 위생사, 식품기사, 유통관리사 등 자격증과 관련한 식품관련 법규를 학습하고 비교 분석할 수 있다. 566.448기본식품생화학및실험 Basic Food Biochemistry and Lab 식품산업과 연구를 위한 기초과목으로 살아있는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고분자 물질들(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상호작용 및 생화학 반응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생체 내에서 각종 생체분자들의 화학구조와 생물학적 기능 및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566.306식품첨가물학 Food Additives 식품의 제조과정 또는 보존의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및 기타 방법으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의 분류와 종류별 특성 및 용도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식품첨가물 생산 현황과 이용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566.310발효식품학및실험 Food Fermentation and Lab 발효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런 발효과정을 제시 및 설명하여 식품산업의 발전을 이루도록 설계한다. 566.311식품공학 Food Process Engineering 식품공업에서 이용되는 여러 공정 (살균공정, 증발, 농축, 건조 등) 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566.315식품가공논리및논술에관한교육 Educational Processing Practice and Field Study 식품가공의 원리에 기초하여 식품가공교사가 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논리의 개념을 파악하고 독서와 작문을 통해서 논리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다. 566.351식품산업현장실습Ⅱ Field Training in Food IndustryⅡ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산업체에서 필요한실무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식품산업 현장체험을 통하여 실습함으로써 현장실습의 직무 만족이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566.402식품물성학 Food Rheology 식품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을 다루며 기기에 의한 식품조직의 측정을 통하여 각종 식품물성과 조직과의 관계, 식품유체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을 품질과 연관시켜 이론을 습득한다. 566.414HACCP관리학 HACCP Management 축산물과 수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설명을 통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 및 기술 등으로 설계되어 있다. 566.444농식품소비자분석및실습 Food Consumer Analysis and Practice 농식품 관련 데이터 분석, 설문, 인터뷰, 관찰 등 농식품 소비자를 이해 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특히, 농식품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데 바탕이 되는 기본적인 자료수집 방법과 자료분석 방법을 다룬다. 566.446식품영양성분분석_캡스톤디자인 Food Nutrition Analysis-Capstone Design 식품소재개발 및 연구분석을 위한 기초과목으로 식품원재료 등에 함유된 다양한 영양성분들의 분석법을 이해하고, 분석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식품영양성분들에 대한 분석이론을 공부하고 기기분석을 통하여 정량분석 방법을 실습 및 학습한다. 566.447식품영양화학 Food Chemistry and Nutrition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를 이해함으로써 식품의 기능성 이해를 위한 기초과목으로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고, 인체내 소화 흡수 과정 및 체내 대사작용, 영양소의 결핍증과 과다증, 관련질병, 급원식품에 대하여 학습한다.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와 관련된 건강문제 등을 다룸으로써, 건강과 식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영양학에 대한 기초를 다질 수 있다. 566.441식품가공학및실험 Food Processing and Lab 식품 재료의 활용도를 증가시켜 효율적인 자원이용과 더불어 현대 식생활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가공학의 특성을 공부한다. 또한 건조, 분쇄, 여과, 열처리 등 여러 조작으로 이루어진 식품가공기술을 공부하고 습득한다. 566.206전자상거래론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는 소비자 뿐만 아니라 거래와 관련된 공급자, 금융기관, 정부기관 등과 같이 거래에 관련되는 모든 기관과 관련되어 있다. 전자상거래 및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관련된 최근 이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관련한 관점을 형성할 수 있다. 566.408식품가공교재연구및지도법 Food Processing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식품가공의 원리에 기초하여 식품가공 전공 분야의 교재를 분석하여, 교과 내용의 구성 등을 이해하고, 교재를 개발하며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도록 안목을 기를 수 있다. 566.409식품저장학 Food Preservation 식품의 저장 원리, 다양한 저장법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각 식품에 이용되고 있는 저장법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566.420식품품질관리학 Food Quality Management 제품의 생명인 품질관리 기법을 배우고, 식품의 품질관리기법 중 관능검사와 관련된 기번에 관한 이론을 학습한다. 566.445식품화학실험 Food Chemistry and Lab 식품의 주요 성분인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 식염정량 등의 분석원리를 배우고 실습하며, 식품의 품질관리분석을 위한 산가, 과산화물가, 요오드가 등 식품기사 자격증 준비를 위한 이론과 시험법을 실습 및 학습한다. 566.449기능성식품학및실험_캡스톤디자인 Functional Foods-Capstone Design 식품의 원래의 기능인 제1차기능인 생명유지에 불가결한 영양특성 및 제2차기능인 미각 및 취각에 관련 된 기호특성에 대한 것은 물론 제3의 기능이라 불리는 생체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건강과 질병의 원인과 회복에 대한 연구, 노화의 진행과 억제 등에 관한 식품 가치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기능성 식품산업에서 적용가능한 이론 및 실험을 병행한다. 566.405식품효소학_캡스톤디자인 Food Enzymology_Capstone Design 효소의 본체인 단백질에 대하여 알아보고 효소의 활성부위 등 효소의 구조와 기능을 배운다. 또한 효소의 추출, 분리정제, 반응 속도에 미치는 인자, 동역학 및 대표적인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환원효소,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효소적 특성을 조사하여 응용력을 배양한다. 566.428식품가공실습 및 견학_캡스톤디자인 Food Processing Practice and Field Study-capstone design 각 식품의 제조 가공 이론의 학습과 실습기구를 이용한 실제 제조 실습 및 현장 견학을 통하여 식품제조공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566.429농식품산업전략론 Strategic Management in Food industry 농식품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경영전략을 학습한다. 아울러, 농식품 기업들의 경영 활동을 진단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와 방법을 학습하여 다양한 농식품 기업에 적용할 수 있다. 566.431포장유통학 및 실험 Packaging , Distribution and Lab 식품에 맞는 포장설계, 포장기법, 인쇄방법 등을 이해하며 이를 활용하여 적정포장을 설계할 수 있다. 저장 및 유통 중에 발생하는 포장에 대하여 영향을 평가한다. 566.443식품냉동학 Food Freezing Technolgoy 식품냉동은 식품 원료 및 가공품을 얼린 후 안전하게 보관, 유통, 판매하는 제반기술이다. 본 강의에서는 냉동시스템의 원리 및 장치, 콜드체인의 구축과 운영을 이해하며, 심화기술로 냉동건조, 동결농축, 초고압 동결 및 초저온 기법을 배운다. 특히 식품의 편리성과 간편성의 강조와 함께 HMR 제품 개발을 가능케 하는 냉동기반 가공법을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