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201 생화학 특론
- 생체 내에서의 대사 및 이화학적 작용에 대하여 공부하고 식품 및 영양에 필요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효소, 핵산 등의 성질과 생합성 등에 관하여 공부한다.
-
- 30202 세미나
- 연구 주제에 대한 관련 논문을 조사, 연구하여 새로운 지식을 얻는데 있다.
-
- 30203 식품화학 특론
- 식품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성분의 구조와 화학, 물리적 성질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 구성성분들의 물리, 화학적 반응과 이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 반응이 식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
- 30204 식품공학 특론
- 식품공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여러 공정들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으로써 정상상태 및 비정상상태에서의 열전달, 열교환기, 증발, 살균, 냉동, microwave heating등을 다룬다.
-
- 30205 식품저장학 특론
- 식품저장을 위하여 최근에 집중 연구되고 있는 hurdle technology, 천연 항균제, irradiation, microwave processing, 고압처리, 무균 포장, 오존처리 및 최소가공처리 등의 기술에 대하여 공부한다.
-
- 30206 식품물성론
- 식품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을 다루며 기기에 의한 식품조직의 측정을 통하여 각종 식품물성과 조직과의 관계, 식품유체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을 품질과 연관시켜서 규명한다.
-
- 30207 식품미생물학 특론
- 식품에 관련된 미생물을 중심으로 미생물의 종류, 성질, 대사 및 식품의 부패 및 식품의 보존 미생물에 의한 발효식품의 제조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
- 30208 식품관능검사
- 식품의 품질평가에 있어서 필수적인 관능검사와 관련하여 패널의 선정 및 훈련, 샘플의 제시방법 및 구체적인 관능검사방법과 이의 통계 처리에 대하여 다룬다.
-
- 30209 곡류공학
- 곡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가공기술, 가공방법 및 가공식품의 품질측정에 관한 이론을 배우며 곡류의 이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영양학적 가치 및 보존성을 높이는 방법을 공부한다.
-
- 30210 축산가공학 특론
- 식육과 우유의 생산, 가공 및 품질특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관한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석한다.
-
- 30211 수산가공학 특론
- 수산물을 식품으로써 가공할 때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 즉 수산물의 구성성분과 이들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수산물 가공에 필요한 기술에 대하여 연구한다.
-
- 30212 식품기기분석
- 식품 중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 유기물질의 추출, 정제 및 구조결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 30213 단백질공학
- 단백질 및 효소의 물리적, 화학적 및 효소적 수식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그런 수식화의 산업적인 적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봄과 동시에 유전공학적인 수식화 기법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
- 30214 식품면역학
- 생체 내에서의 면역학적인 현상에 대해 먼저 고찰하고, 대부분의 만성 질병의 경우 약이 아니라 식품으로서만이 완전치유가 가능한데 그런 만성병 치유에 있어서 면역학적 작용기작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
- 30215 식품과학과 컴퓨터
- 컴퓨터의 기본원리 및 다양한 software를 소개하고 이들이 식품과학 분야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다룬다.
-
- 30216 식품포장기술
- 포장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기능성 포장기법 (가열살균포장, 가스치환포장, 선도유지 포장 등)에 대한 내용을 습득하고, 최신 포장 연구 (지능형, 능동형) 및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조사 발표한 후 토론한다.
-
- 30217 기능성식품 및 첨가물론
- 식품의 생체 내에서의 생리기능 활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각 종 기능성 식품소재의 종류와 효능기작 및 기능성 식품의 제법과 그 구체적인 효능에 대해 공부한다. 아울러, 기능성 식품 첨가물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 30218 식품기계학
- 식품공장에서 사용되는 제반 기계의 작동원리와 특성 및 사용시의 장단점에 대하여 다룬다.
-
- 30219 영양학 특론
- 영양학의 기본이론을 토대로 각 영양소의 체내 기능 및 대사에 관한 최신정보 및 특수과제를 선정하여 강의하고 토의한다.
-
- 30220 응용통계학
- 식품과학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통계학적 기본 원리를 익히고 이를 토대로 실험 및 조사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훈련을 한다.
-
- 30221 영양생리학 특론
- 인체를 중심으로 각종 신체장기의 기능 및 대사의 특성 등 생리학의 원리를 익혀 영양학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30226 영양판정 특론
- 영양판정 및 조사 평가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과 원리, 결과의 해석 방법 등을 익히고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능력을 배운다.
-
- 30227 지역사회와 영양
- 지역사회의 식품 및 영양문제를 취급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 등을 토의함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영양 상태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연구한다.
-
- 30228 생활주기영양학 특론
- 생애단계(임신기, 수유기, 영유아, 미취학아동기, 학동기, 청소년, 성인, 노인 등)와 특수환경(우주, 약물, 운동, 노동 등)에서의 영양문제에 대하여 배우고 토의한다.
-
- 30229 영양교육 및 상담
- 임상 및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전문영양교육인 양성을 위한 영양상담 이론 및 실제, 영양관리법, 교육효과 평가 등의 능력을 키운다.
-
- 30230 영양역학
- 영양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현상들(질병이환율, 식생활 패턴 등)간의 관련성, 인과관계 등의 규명을 통하여 역학연구의 이론과 실제 적용 방법을 익힌다.
-
- 30231 단체급식 특론
- 학교, 병원, 사업체 등의 단체급식소 유형에 대해 영양, 위생, 경제성, 작업관리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개선점을 모색케 한다.
-
- 30232 급식경영관리
- 경영학에 대한 개념과 경영원리를 급식 관리에 적용시켜 단체급식소의 합리적인 관리법을 습득케 한다.
-
- 30233 조리과학 특론
- 각 식품의 구성성분의 특성 및 식품 조리 시에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변화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연구한다.
-
- 30240 영양의 특수과제
- 영양과 관련된 중요한 최신 논제를 선택하여 관련자료 및 최신정보의 수집 등을 통하여 일정 주제에 접근하여 강의하고, 토의 및 분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
- 30241 임상영양 특론
- 각종질병 발생 시의 체내 대사의 변화 및 이에 따른 영양소 요구량의 변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사례연구를 통하여, 영양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영양관리의 원칙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식사지침 등의 일반원리를 터득한다.
-
- 30242 운동과 영양
- 일반인부터 전문 운동인에 이르기까지, 운동 시에 나타나는 체내 대사의 변화를 이해하고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사관리 등 전반적인 영양관리 방안을 모색한다.
-
- 30247 유지공업
- 유지는 식용유와 같이 그 자체로뿐 아니라 가공식품원료로서 식품산업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고, 그 외 세제, 유화제, 화장품, 의약품원료 및 사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유지의 제조공정자체 및 그것의 실제 응용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나가고자 한다.
-
- 30249 식품가공부산물처리공학
- 식품중 가식부를 제외한 부분이 대개 50%이상이고, 더구나 가공 중에 나오는 폐액은 엄청난 양인데도 유용하게 이용하려 하기 보다는 폐기 내지는 분해시켜 자연환원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식품가공부산물을 손쉬운 식품산업에서부터 생물소재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그리고 고부가 가치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 30250 생물공정공학
- 생물공정공학은 생물 촉매를 이용하는 공정을 공학적 원리에 입각하여 설계, 개발, 해석하는 것을 다루는 학문이다. 본 강좌에서는 식품공학도에게 생물공정의 필수적인 개념을 중점적으로 소개해 나가고자 한다. 나아가, 생물공정에서의 공학 원리를 생물반응기를 중심으로 설명해 나가면서 식물세포배양 및 동물세포 배양시의 생물공정에 대한 고찰도 시도해 본다.
-
- 30251 식품안전성 평가
- 식물성 또는 동물성 독성물질, 환경오염물질, 미생물독소, 잔류 농약, 식품 첨가물 등에 의한 식품을 통한 위해성을 평가하고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준 설정, 평가 및 monitoring과 관리 방법 그리고 관련 기준 규격에 대하여 강의한다.
-
- 30252 식품포장검사법
- 식품포장재와 식품포장과 관련된 검사에 이용되는 제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 검사법에 대한 자료분석 및 실습을 통하여 식품포장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 30255 해양신소재공학
- 해양생물, 표층해수, 심층수 등의 해양자원을 기능성 소재 또는 첨단 신소재로서 산업화하기 위한 식품가공학적, 생명공학적 및 첨단공학적 기법의 접목 적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공부한다.
-
- 30256 식품학 특론
- 식품의 처리공정, 공정 중의 이화학적 , 영양적, 물성적, 생화학적 변화 등을 비롯하여 조리 및 영양정보, 수송, 저장, 유통에 관하여 공부한다.
-
- 30257 식품재료가공
- 식품재료의 가공 중 변화를 조사하고, 이들의 구조와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안정된 분리물인 식품소재와 부산물을 얻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한다. 아울러 제조공정에서 얻을 수 있는 부산물 등의 산업적 처리에 대한 연구 동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
- 30258 식품미생물학 원리론
- 식품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 (세균, 곰팡이, 효모, 바이러스), 특성 등을 파악하여 식품공업의 제조기술에 이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전반에 대하여 연구한다.
-
- 30259 메뉴개발과 외식상품 연구론
- 특정한 식품을 연구하여 새로운 메뉴를 개발하고 상품화 하는 과정을 연구하고 익혀 실제에 응용하게 한다.
-
- 30260 음식미학
- 식품을 사용하여 그 식품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음식을 맛있고 아름답게 만들고, 완성된 음식을 그릇에 담고 장식하여 최고의 상품으로 만들어 내는 과정을 공부하고 응용하여 실제에 사용하게 한다.
-
- 30261 식품위생학 특론
-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민의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식품의 제조 및 가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식품위생과 식품의 저장 및 유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해사항 등의 원인을 규명하여 국민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전반적인 지식과 기술에 대하여 연구한다.
-
- 30262 농산가공학 특론
- 농산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식품 성분이 지니고 있는 영양학적, 기호적 품질의 손실 없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넘어 소비자에게 보다 새롭고, 편리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국내외 연구동향을 학습하고 농산물의 가공능력을 배양한다.
-
- 30263 HACCP의 이론과 실제적용
- 식품공장에서의 식품제조 생산 시 위해요소중점관리를 위한 건축, 설계, 공정관리 등에 관련되는 H/W 및 S/W의 이론과 실제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강의하여 장래에 HACCP 관리실무자나 컨설턴트로까지 수강자가 진출할 수 있도록 한다.
-
- 30234 논문연구
- 학위논문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일반적인 지식과 이론, 그리고 방법을 연구 지도한다.
-
- 30253 현장연구 Ⅰ
- 이론적인 지식을 현장에서 실습을 통하여 관련 산업현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과 대책을 보고서를 작성⋅제출한다.
-
- 30254 현장연구 Ⅱ
- 현장연구Ⅰ의 연장
-
- [신설] 포장설계
- 식품과 공정에 적합한 포장소재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다. 식품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 (플라스틱, 종이, 유리, 캔)에 대한 제조방법, 물리적∙화학적 특성 등의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며, 이를 통해 포장소재로의 이용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
- [신설] 유지화학특론
- 유지화학특론 유지산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식용유지(lipid)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유지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유지공학(lipid technology)관련 최신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혀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 [신설] 농식품연구방법론
- 농식품 산업 마케팅 분야 학술연구를 위해 필요한 연구절차, 연구디자인, 주요 통계이론 및 기법을 학습한다.
-
- [신설] 플라스틱 식품포장
- 플라스틱 (고분자)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며, 식품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특성, 가공방법, 시험방법, 적용방법을 습득한다. 또한, 친환경 플라스틱에 대한 최신 자료를 조사 발표한 후 토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