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소개
기능성식품학 연구실은 고부가가치의 건강기능성 BioFood 및 미래식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소재 적성 및 제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구조적 관점에서의 기능성 발현기작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세부 연구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The Laboratory of Functional Food” conducts various research on high value-added health functional BioFood and future food. Our resear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material aptitudes and formulations using variou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based on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structure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biopolymers. The detaile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식물성 단백질을 활용한 바이오‧기능성 소재 발굴 및 구조-기능 상호관계 규명(현재 연구재단 과제 수행: 2021년 3월 ~ 2026년 2월, 총 5년
(현재 연구재단 과제 수행: 2021년 3월 ~ 2026년 2월, 총 5년)
-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 (lentil, pea, mung bean, soy)의 물성강화 전략을 목표로 생체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삼차원적 하이드로겔 개발한다. 기능성 물질의 생체 내 전달 및 흡수 촉진을 위한 하이드로겔 구조 파악 및 기능성 물질과의 상호작용 (강도, 투과성, 분해, 생체활성 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에 중점을 둔다 (#그림: 식물성 단백질 유래 3D-Hydrogel 예측 모델).

This research focuses on a systematically investigation of protein interactions and conformational changes during network formation. This is then correlated to their network microstructure and bulk features (mechanical strengths, permeability, degradation, bioactivities etc.), enabl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of plant-based protein hydrogels. Such a fundamental approach has allowed the creation of novel protein applications in food, personal care and biomedical areas.
고부가가치 생리활성 성분 식품소재 제어 및 전달을 위한 캡슐화 및 제형화 기술 개발
- 가공/저장 중 불안정한 생리활성 물질을 보호하고 이를 제어 및 방출하기 위한 마이크로/나노 기반 입자제형을 설계하여 생리활성 성분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 “바이오‧기능성 소재 맞춤형 제형” 개발 : 나노에멀젼화, multiple 에멀젼화, 리포좀화, 나노고체입자, 피커링입자 등.

This research has led to design of a series of novel edible micro-/nano-particles that are capable of protecting labile bioactive molecules during storage and delay their release in harsh stomach conditions, and then transferring and releasing them to the intestine where they are absorbed.
생체 고분자 기능 및 생리활성 규명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항산화, 항균, 면역기능 등) 및 새로운 기능과 관련된 바이오폴리머의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한다.
This work has been focused on structures of biopolymers in relation to their biological activities (e.g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new functionalities.
본 연구실에서는 미래식품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므로 관심 있는 학생은 교수연구실(공학1호관-113호, 내선 2962)로 연락 혹은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