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소개
취업 로드맵 작성을 통한 맞춤형 인력 양성
- 지도교수 중심 대학생활공동체를 통한 취업 로드맵 완성 : FAM 운영
- 공유·협업 활동을 통한 산학연협력 활동의 확산 : 산학연협력 Cell 3.0 운영
가공식품 제조 시험을 통한 직무 능력 향상
- “식품가공실습 및 견학-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연계 고부가가치 가공식품의 제조법 개발 및 산학협력 : 산학연계교육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참여
지역산업맞춤형 인력양성을 통한 지역사회에 기여
- 지역 농식품산업체를 대상으로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과 산업화 연구 : 농식품 6 차산업연구협의체 운영
연구 분야 소개
FAM 및 산학협력 Cell+ 과제 참여
- 지도학생 면담 및 학습 코칭 (2020, 최우수 FAM 선정)
- 고추냉이 잎 건조분말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폴리페놀 함유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의 개발(2018, LINC+사업단)
- 해송이버섯을 이용한 원물간식과 캔디류의 제조기술 개발 (2019, LINC+사업단)
캡스톤디자인 및 현장실습
- 홍천 찰옥수수를 활용한 “찰옥수수와플”(2023, 교과목캡스톤디자인), 두유를 첨가한 건강한 누룽지 제조(2023, 교과목캡스톤디자인), 강릉 감자&고구마만주(2022, 교과목캡스톤디자인) 등 과제 수행
- 지역산업체에서 현장실습 (2022, 하계) 참여
지역기업 혁신성장 R&D 및 산학협력 Cell+ 운영
-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부각제품(우엉/연근)의 조직감 개선 및 유통기한 연장기술 개발 (2019,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
- 산학연협력 Cell 3.0 및 농식품6차산업연구협의체 운영 (2023, 산학연협력 선도대학육성사업단)
주요 보유 장비
-
권체기 (CH/M160, Indosa)
-
제면기 (SN-77,삼우공업)
-
제과기 (SYP8501, 신영)
-
화상분석기 (Image Pro & BX40 Olympus)
-
레오미터 (Rheometer LV DV3T,Brookfield)
-
항온기 (WF0-700W, Eyela)
-
원심분리기 (Fleta5, 한일)
-
고속균질기 (T25 digital, Ika)
-
초순수 제조장치 (P.NIX PowerⅡ,Human)
-
분광광도계 (Agilent UV-Vis 8454)
-
진공회전농축기 (SB-110,Eyela)
-
물성계 (Rheometer, CR-100)
실험실 현황 (2025. 03. 기준)
- 학생대표 : 이수빈 (학부 4학년)
실험실원
- 총원 : 12명
- 1학년: 10명, 4학년: 2명